티스토리 뷰

반응형

강원 태백시에 지난 25일 대형 구렁이 출현이 뒤늦게 알려져 전국적인 화제가 되었던 가운데 추가 목격자와 사진이 나왔습니다. 추가 목격자는 구렁이 출현 장소 인근 공사장의 현장 소장 A 씨.

이전 목격자 B 씨의 사진에는 나무와 구렁이만 보였지만 이번에 A 씨가 보내 준 사진에는 ‘태백로’라는 도로명과 근로복지공단 태백병원 등 주변 풍경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데요, 추가 목격자와 사진이 나옴에 따라 일부에서 제기됐던 합성 의혹은 해소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31일 국내 양서파충류의 권위자로 알려진 송재영 국립공원공단 연구기획부 부장은 “보통 뱀은 남쪽으로 갈수록 큰 개체가 많다. 구렁이의 경우 평균 1~2m에서 국내 환경에선 3~4m까지 자랄 수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사진으로만 보면 구렁이의 한 종류로 보이고 이론상으로는 최대 4~5m까지도 성장할 가능성은 있다. 실제 3m만 넘어가도 굉장히 큰 경우다”라고 말했습니다. 실제 구렁이 사진을 찍은 A 씨는 4~5m 정도로 봤고 최초 제보했던 B 씨는 8m라고 봐 크기에 대한 격차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사진 특성상 촬영 위치나 거리 등 구도에 따라 체감하는 크기가 다를 수 있기에 사진보다 더 작을 수도 있다고 봐집니다.

한편 이번에 구렁이가 발견된 태백지역에는 과거에도 거대 뱀에 대한 목격담이 있었으며, 뱀과 유사한 이무기와 용에 대한 지명도 많은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한강의 발원지인 검룡소는 용이 되기 위해 찾아온 이무기 즉 검룡이 살고 있다고 알려져서 붙여진 이름이며 낙동강 발원지인 황지연못도 이무기와 관련된 설화가 전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죠.

 

강원도에서 거대 구렁이 목격담은 잊을 만하면 나타났는데요.

화재로 전소된 엄흥도기념관 뒤편 창고에서 발견된 길이 2m의 황구렁이 [강원도민일보 참고사진]

2021년 6월 25일 원인 모를 화재로 전소돼버린 영월 충의공 엄흥도기념관에서 멸종위기종인 대물 황구렁이가 자주 출현해 화제가 되기도 했는데요, 주민 A(50)씨는 같은 해 7월 9일 오전 8시쯤 영월읍 장릉 인근 물무리골생태학습원에 산책을 나왔다가 바로 옆 엄흥도기념관 화재 잔해물이 쌓여있는 기념관 뒤편 창고에서 문짝을 지탱하도록 양쪽에 세운 기둥 위 문선(門線)에서 2m 길이의 황구렁이를 발견했다고 전해졌습니다.

A 씨는 같은달 14일 오전 9시쯤 현장을 찾았다가 또 다시 황구렁이를 발견했는데요, A씨는 “삼족을 멸한다는 위협에도 불구하고 충신의 도리를 지키기 위해 단종의 시신을 수습한 엄흥도처럼 황구렁이가 그동안 엄흥도기념관을 지켜 왔을 것”이라며 “비록 불에 다 타버렸지만 자리를 뜨지 못해 현장을 지키고 있는 것 같다”라고 말했습니다.

같은 해 4월에는 인제군 서화면 천도리에 위치한 밭 주변에서 긴 겨울잠을 마치고 나온 구렁이(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가 들쥐를 잡아먹는 광경을 본 지 장근세 DMZ통신원이 쵤영했습니다.

2016년 6월 평창군 한 야산에서는 길이 6m가 넘는 초대형 구렁이가 발견돼 화제가 되었는데요, 주민 지모(평창읍)씨에 따르면 최근 방림면의 야산에 일을 하러 갔다가 나무 위에 올라가 쉬고 있던 대형 구렁이를 목격했다고 전해졌습니다. 구렁이는 높이 15m 정도의 잣나무 위에서 목격됐고 등은 검은색,뱃쪽은 황금색과 흰색의 전형적인 먹구렁이 였다고하는데요. 구렁이는 몸통 굵기가 타고 올라간 나무 굵기와 비슷해 족히 10㎝이상으로 보입니다.

지 씨는 “야산 아래 농경지 부근에서 일을 하다 야산에 올라 나무위에 이상한 물체가 있어 살펴보니 6m 이상으로 보이는 초대형 구렁이 였다”며 “아침 시간이라 햇빛을 쬐기 위해 나무에 올라간 것 같다”라고 말했습니다. 지 씨는 “구렁이의 꼬리를 잡고 당겼으나 건장한 체격임에도 끌려갈 정도로 강한 힘을 쓰며 유유히 나무를 타고 사라졌다” 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보면 참 놀랐것 같은데요. 구렁이 같은 대형 뱀들은 비교적 온순한 편이라 단순히 사람을 만난다고 해서 공격하지 않는다고하니 걱정하지 않아도 될 듯하네요.

반응형